사라져가는 도시의 기록, 문화 유산, 그리고 지금을 살아가는 사람들의 삶의 이야기를 아카이빙 하고자 합니다.
수원이 가지고 있던 기록 현황을 파악하고, 연결하여, 기록 생태계를 구축하고, 내실화 및 신규 발굴 과정을 거쳐 공공자산으로 활용할 계획입니다.
문화도시 홈페이지를 통해 디지털 아카이브가 연차적으로 구축되는 과정을 볼 수 있습니다.
※ <용어> 디지털 아카이브(Digital Archive)
디지털 정보로 이루어진 시·공간의 제약을 받지않는 거대한 자료·콘텐츠 저장고로 정보의 생산, 전달, 공유, 지식에의 접근성을 극대화.
수많은 연결과 얽힘으로 정보지식 및 콘텐츠의 무한한 확장을 가능하게 함.
1. 도시기록단 교육 과정 구성에 대한 기획 및 운영
2. 도시기록단 커뮤니티 구성 및 향후 운영 방향 토론
1. 워킹 아카이브 활동을 통한 자료집 제작
2. 문화도시 수원의 아카이브 방향성 설정 및 공동 목표 설정
1. 도시기록단 아카이빙 프로젝트 <어르신 자서전 쓰기>
가) 도시기록단 대상 아카이브 강의, 편집 회의
나) 자서전 대상자 선정(9명), 구술 인터뷰 진행, 출판 기념회 개최
2. 매탄주공 4・5단지 전시 <기억할게, 고마웠어>
가) 주민 인터뷰 및 사진 촬영
나) 아카이브 전시(7일간) 및 도록 제작
1. 초등학교 100년사 아카이브
가) 대상 : 신풍초등학교, 매산초등학교, 안룡초등학교, 태장초등학교
나) 학교 4개소 아카이브 작업 및 도록 발간
2. 삼일학교 120년사 아카이브
가) 대상 : 삼일학교
나) 120년사 책자 발간 및 배포